실제로 보험이나 펀드 보다는 단기적인 원금 보장이 되는
적금 위주로 가는게 좋다.
새마을 금고나 수협으로 가서 저축을 많이 하는게 좋고
종자돈 만든후에 그 후에 투자라든가 어떤 부분에 대해서
비중을 늘리는게 좋다.
좀더 자세한 상담은 차후에 전화를 주면 길게 상담을 해주도록 하겟다.
어느정도 큰 기준은 세울수 있는데
마음이 편하고 구체적인 상담을 받아야 겟다.
저축 소비를 줄이는게 받는 돈이 큰것보다 지출을 통제하는게
위험한 상품보다는 젊은 퍼센트 70-80% 저축을 정한게
가장 큰 원칙이다.
상담하다 보면 이분같은 경우 아니지만
사회 초년생은 주거에 대한 월세 비용이 커서
지출이 많거나 부모님 봉양에 대한 돈을 보내드리거나
학자금 대출등
이런분들도 잇는데 돈을 많이 받는 친구들과 비교해서 적어서
속상하지만 재무적으로 안정적이라서
비중을 정해주셧는데 그정도는 과하지 않나
사고싶은것도 많고 할텐데 지금 어느정도 확정을
강제로 저축하지 않으면 향후 50% 저축을 늘리기엔 힘들다.
해보다가 너무 힘들면 줄일수도 있다.
중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 하지 말고 단기적으로 집중하면
70-80% 못하면 좀 줄여도 손해는 없다.
처음부터 크게 하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
부담스러운 분들이 있을텐데
재무상담 받고 나면 너무 쓸거 못쓰고 저축해야 될것 같아서
습관이 중요하다
50-60대 상담하다 보면 정말 5년 전에 재무상담을 받앗더라면
센터장님을 만낫더라면 제 인생이 달라졋을거라 하는데
그런 어른들의 말씀을 집중하고 늦게 취직해서 고민이 많은데
좋은 습관을 가지고 좋은 상담사를 만나서
좋은 결과를 가졋으면 한다.
늘 말씀드리는 것이 저희 자산에 대해서 관심하지 않고
무관심하게 바라보면 누구의 책임도 아니다.
궁금하거나 궁금하신부분 문의하시면 언제든지 상담가능하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득이 평균 세후 360 정도 되고 작년에 아파트를 삿다. (0) | 2015.11.24 |
---|---|
일단 부족한 현금이 발생하면 신용카드를 선택하게 된다. (0) | 2015.11.17 |
주택 부담부증여를 활용하여 증여세 최소화 (0) | 2015.11.11 |
동탄 제2신도시 아파트 입주 전후 재테크 방법은? (0) | 2015.11.09 |
50만원을 가지고 적립식 펀드를 활용해서 일정액 목돈을 마련 (0) | 201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