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과점과 독점 완전경쟁이란?

by 멋진3 2015. 12. 21.

 

 

 

아하 국가나 정부나 시장형성 가격조건이 바람직하지 않을때

바람직하게 유지하는 정책이 어떤것이 잇는가

이런식으로 가격은 결정되는 것을 알앗는데

우리가 시장이라고 하면 물건을 사고 파는 추상적인 공간이다.

시장이라고 통칭하는 것도 시장의 형태가 시장의 특성이

각각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엇다.

 

 

 

 

 

 

 

 

일상생활에서 목격하는 시장을 크게 4가지로 설명을 햇다.

시장에 형성되는 가격 메커니즘도 달라지고

가격의 적정 여부도 달라진다.

시장에서 가격은 어떻게 구분하고 분류를 하는가

시장을 분류하는 기준은

기업의 수이다.

공급자 수이다

 

 

 

 

 

 

 

 

 

그 시장에서 물건을 공급하는 수가 몇명이냐

가장 먼저 구분하는것이 그 시장에서 물건을 공급하는게 한명이다.

독점시장은

말그대로 한사람이다.

당연히 그 공급자가 시장에서 절대적인 지위를 갖게 된다.

독점 기업의 횡포도 목격이 된다.

상수도, 케이블 tv

 

 

 

 

 

 

 

 

상수도는 이해가 가는데 케이블 tv 가 무슨 독점이냐

각 지역마다 케이블 마다 송출하는 회사를 한회사만 허락해줫다.

단독 기업이기 때문에 그 지역내 독점회사를 예시로 적엇다.

독점을 예시하는 중요한 내용중 하나가 독점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국가 단위가 아니라 특정 계층으로 얼마든지 가능하다.

 

 

 

 

 

 

 

 

독점은 국가 단위로 공급자가 한명인지 아닌지 판단하는게 아니라

기업가 수가 소수인 과점 시장이다.

해당 시장에서 소수의 몇 기업으로 국한되어 잇는 시장이다.

도대체 소수란 몇명을 의미하는가

두명부터 다섯까지 열명이라는 다소 불투명한 표현을 하는데

과점 시장을 여부인지 파악하는게 몇명인지가 중요한게 아니다.

 

 

 

 

 

 

 

 

 

 

 

그 시장에서 활동하는 형태가 과점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이다.

어떤 시장은 3명만 구매해도 3개의 기업이 아주 치열하게 완전경쟁상황으로

벌이고 잇다.

7개니 8개니 다수의 기업이 잇더라도 그 기업의 단합을 통해서

가격을 상호 조율한다면 과점 시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소수라는

추상적으로 표현하고 잇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분위 분배율은  (0) 2015.12.23
한계효용이론과 무차별곡선이론  (0) 2015.12.18
기회비용이 어떻게 계산을 하느냐  (0) 2015.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