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해이
감추어진 행동의 상황에서 어떤 계약이 이루어진
이후에 정보를 가진 측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는 현상
외부효과
생산자나 소비자가 어떤 경제 행위를 수행할때 해당 경제 행위에
참여하지 않는 제3자에게 의도하지 않게 이익이나 손해를
가져다 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대가나 벌칙을 받지 앟는 경우
이런 외부효과를 어떻게 해결하는가
외부효과의 해결책
보조금와 조세부과
정책적 규제
특정행동을 막기도 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주체를 엠엔에이를 한다.
분배이론에 대해서 알아보자
여태까지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많은 분들이 생각하는게
경제학이 참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선택 효율성만을 중시하는 학문이라
생각되는데 경제학에서 경제학 판단하는데 중요한것이
효율성과 형평성이다.
사실 어떤 결정을 내리는데 반드시 함께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효율성이라는 것은 많은 경제학자들이 도출하기가 쉽다.
효율성이 동일한 산출물을 만들기 위해 이전보다 더 적은 비용을 들엿다면
같은 비용을 들여서 더 많은 산출물을 만들엇다면 많은 사람이 공감하고
도출이 가능하다.
형평성은 그렇게 쉽지 많은 않다. 결론이 모두 똑같다.
반드시 형평하다고 할수 없다. 숙제하는데 하나도 도움을 안주는 친구와
같은 학점을 주기에는 형평하다고 할수 없다.
이미 많은 것을 가지고 잇는 사람과 동일하게 기회균등을 주기에는 어렵다.
형평성이 아직까지 대전제라든가 다양한 이론전개가 미흡되고 잇다.
경제학자들이 손을 놓은것은 아니다.
10분위 분배율 로렌츠 곡선 지니계수 국민소득
거시경제 단원도 잇다. 먼저 생각해 봐야 할게 가장 대표적인 것이 소득분포 상황중에
10분위 분배율은 어떠한게 잇는지
10분위 분배율 분모와 분자에 어떤 숫자가 들어가는가
그 사회 그국가에서 가장 돈이 많은 집단 소득계층의 소득점유율
최하위 40% 소득계층의 소득점유율 우리가 어떻게 전개를 하면 될까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점과 독점 완전경쟁이란? (0) | 2015.12.21 |
---|---|
한계효용이론과 무차별곡선이론 (0) | 2015.12.18 |
기회비용이 어떻게 계산을 하느냐 (0) | 2015.12.17 |